아편전쟁은 영국과 청나라 사이에서 무역 수지 문제로 영국의 은화가 청나라로 계속하여 유출되자 영국이 은화를 다시 회수하려는 목적으로 아편을 살포한 것이 원인이 되어 발발한 전쟁이다. 아편전쟁은 두 차례에 걸쳐 일어났으며 제1차 아편전쟁은 중국 내부, 제2차 아편전쟁은 중국이 영국과 프랑스에 맞서 싸워 영불 전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아편전쟁의 전개과정
18세기 산업혁명의 성공으로 영국은 세계 최강국으로 세계 시장을 지배하며 식민지 개척에 집중했다. 영국은 인도를 점령한 이후 중국 청나라와 무역을 시작하였다. 청나라의 품질이 뛰어난 도자기와 비단은 영국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되자 중국을 상대로 물건을 팔아 수익을 내고자 했던 영국은 무역 적자로 고민하게 되었다.
영국의 무역적자
영국은 청나라와의 무역에서 적자로 인해 계속해서 은화가 반출되는 것을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 결국 청나라로 유출된 은화를 다시 영국으로 회수하여 무역적자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편을 살포한 것이 두나라의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영국은 인도에서 아편을 생산하여 청나라에 몰래 판매하였고 때마침 청나라는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백성들이 고통이 늘어난 만큼 아편을 찾는 사람들도 증가하기 시작했다. 1830년대 들어 아편 판매량은 300만 t에 이르면서 청나라의 아편 금지령은 문제를 해결하기에 아무 소용이 없었다.
광동 협정
그 결과 중국에서 아편으로 인한 중독자가 증가함으로써 경제적 혼란과 더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러던 중 1839년 아편 단속의 임무를 수행하던 청나라 관리 임칙서는 영국인들이 광저우에서 보관하던 약 2만 개 이상의 아편 상자를 압수하여 불태워 버렸다. 7월경에는 영국인들이 중국인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중국 내 영국에 대한 적대감이 최고조에 달했고 영국인에 대한 재판권 문제로 갈등을 일어나게 된다. 영국은 이 문제를 빌미로 삼아 1840년 6월경 약 4000명 이상의 병력과 해군 함정으로 청나라를 공격하였다. 거대한 군함과 대포 등 최신식 무기로 무장한 영국에게 청나라는 패배하고 광동 협정을 맺어 홍콩의 할양과 배상금을 주기로 합의하였다.
난징조약
하지만 청나라 황제는 광동 협정을 이끈 기선을 파면하고 재차 전쟁을 일으켰으나 약 1만 명이 넘는 영국군에게 상하이와 난징이 점령되며 아편전쟁은 난징조약을 맺으며 끝났다. 이 난징조약은 청나라의 최초 조약이자 불평등 조약으로 홍콩은 영국에게 양도하고, 광저우 등 5개 항구를 개항, 전쟁배상금으로 1,200만 달러와 몰수된 아편에 대한 600만 달러를 영국에 지불하기로 하였다. 청나라 안에서 영국인의 범죄는 영국 영사가 재판권을 갖고 다른 어떤 나라보다 영국에 최고의 대우를 하기로 하는 내용을 체결한다. 이후 다른 서양 열강과 관계에서 난징조약의 내용은 표준 조약이 되어 강대국들에게 청나라가 휘둘리는 계기가 되었다.
아편전쟁의 결과
아편전쟁 이후 중국은 현재까지 마약 범죄만큼은 무관용의 원칙을 굳게 지키고 있다. 이 원칙은 중국, 대만뿐만 아니라 한자문화권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쳐 서양 국가들보다 마약과 관련 범죄는 법집행이 엄격한 편이다. 난징조약의 결과로 홍콩은 영국의 지배를 받던 중 1949년 10월 공산정권의 수립으로 많은 자본가와 전문인력이 한꺼번에 홍콩으로 이동하면서 홍콩은 대번영을 이룬다. 이후 1972년 중국과 영국 간 국교가 수립으로 1982년부터 시작된 홍콩 반환 협상의 체결에 따라 1997년 7월 1일에 홍콩은 중국으로 반환되었다. 이로써 홍콩은 서양식 자본주의와 민주주의가 동시에 존재하는 일국양제라는 시스템이 적용되면서 최근 홍콩에 대해 중국화 추진으로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고 있다.
'전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산리대첩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03.22 |
---|---|
냉전시대 첫 전쟁인 한국전쟁이 일어난 과정 (0) | 2022.01.27 |
임진왜란이 일어난 과정과 주요 전투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01.27 |
노예해방을 위한 미국 남북전쟁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01.27 |
걸프전쟁이 일어난 과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01.26 |